경남 밀양시 부북면 대항리(한목)
慶南 密陽市 府北面 大項里(대항2리).여름이면 푸른벼가 넘실되고 가을이면 황금벼가 추수를 기다리는
논의뒤편에 자리잡은 진양하씨 집성촌으로 세거한지 550년되는 유서깊은마을이다.
마을이름은 大(큰대)項(목덜미항)의 웟부분에 해당하므로 웟목또는 한목이며 옛날에서 수동이라고도 했다.
1454년(단종3년.을해년) 하비공이 복거하기시작하여 그자손들이 대대로 살게되었다.
화악산(華嶽山)의 한줄기 지맥이 서쪽으로 뻗어내려. 허황산. 형제봉. 명방현 등으로 이어지고. 다시 동으로 구부러져 동구 쪽으로 감싸고 있으니 이것이 마을 안산이다. 이 안산이 일자봉.또는 파초봉 이라고 부르고 있다.
화악산 분수령에 흘러내리는 물이 또한 서쪽으로 작은시냇물이 흐르고 그 형상이 흡사 항아리 같기도 하고 배 같이 보이기도 한다고 하여 옛사람들이 옥호 동천 행주형(玉壺洞天行舟形)이라고 찬미했다고 한다.
마을 이름은 한목.또는 수동(壽洞)이라고 불려지기도 한다. 수동이라는 이름은 이곳이 산수가 맑고 좋아 수(壽)를 누릴 수 있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예부터 화악산 아래 4개의 수동이 있는데 그중3개는 경북 청도군에 있고 1개만 여기에 있는 셈이다. 이전에는 하 씨가 300여 호 거주했다고 한다. 그러나 시대의 변천으로 도시로 각자 이거 하고 지금도 20여 호종원들이 화목하게 살면서 선조의 淸德 을 이어받아 禮 와 孝 을 중시하며 살고 있다. 한목이라는 뜻은 잘은모르겠으나 大項(큰대.목덜미항)의 한자에서 보듯이 화악산의 목부분에 위치 한다고 하여 큰목마을또는한목마을이라고 불려졌다고 여겨진다. 부산 강서구 대항동 에도 한목마을 있는걸보면 더욱더 그렇게 느껴진다.
- 대항리 에 있는 지명 -
*한골 - 동네 둿쪽골짜기.한골은 우리나라지명 에서 여러곳에서 찾아볼 수 있음.
*한골안-마을둿산 골짜기 안쪽이라하여 붙여진이름
*골안에(고란애)-마을서쪽 골짜기 안쪽
*새각단-마을서쪽이름. 오래전 남곤사후 새로된마을이라하여 붙어진이름.
*포낭걸(포구나무걸) - 포구나무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입구 포구나무와 느티나무가 마을의 당산나무 이다.
*별묘등(別廟登)-영모재 옆 산등선. 지금은 불미등이라 흔히들 부른다
* 평밭마을 - 화악산 동쪽 봉우리 아래쪽에 자그마한 부락이 있는데 언제부터 사람이 거주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산 위에 평평한 곳이라 해서 평전이라 이름 붙여진 곳이다.
지금도 전원생활을 즐기는 10여호가 살고있다.
*상항저수지(한목못)-1961년2월에착공하여 1963년12월에에 완공된 저수지로써 뚝길이208m.높이20.7m
이며 총저수량 613㎥이며 계곡형저수지이다.서쪽으로는 금박골(형제봉) 동쪽으로는 성지골(돛대산)이 위치한다. 물고기는 잉어.붕어 메기등이 서식한다.옛날에는 물이너무맑아 붕어.잉어는 서식하지않았다.
*용시덤(용샘)-화악산정상 서쪽봉우리아래 용샘이있는데 가뭄에는 기우제를 지냈다.
*벽 수동 -상항저수지에서 화악산쪽으로 오르면 상봉(上峰)의 분수령에서 나오는 물과 평전(평밭) 분지에서 모여든 물이 합해져 흐르는 계곡이 있고 조그마한 폭포가 있고 여름이면 인근 주민들이 피서를 즐긴다. 이것이 벽수폭포 이다. 계곡주위에 푸른수목이 우거지고 맑은물 이 항상 있는곳이라 해서 벽수동(碧水洞)이라고 한다.
*봉천동 - 화악산입구 아랫부분 옛날에는 봉천사라는 신라 고찰이 있었고 절 밑에 5~6호의 민가가 살았다. 얼마 전까지도 탑. 부도 석조물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왜 봉천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는지는 알 길이 없다. 봉천사는 임진왜란 후에도 있었는데 산에 묘(墓)를 쓰고부터 폐사가 되었다는 말이 전해진다. 현재 문헌상으로는 조선후기 1767년(영조43)승려 기성대사가 지은 불교가사집으로 염불을하여 마음의고향으로
돌아갈것을 밝히는 염불환향곡 남아있는데 밀양 화악산 봉천사에서 개판되어있다고 되어있다.
지금도 그마을에 5~6호 민가가 살고있다.
*양수 바이 - 평전(평밭)에서 벽 수동을 거쳐 내려오는 물과 봉천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물이 합수되는 지점의 이름이다.이지점에서 동쪽을 보면 산복쯤에 은을 캤다는 페광이있다.
지금은 양수마을 이라하여 산수가 맑아 여름이면 외지사람들이 많이찿는다.몇호가 살아가고있다.
*새밭등(소바탕) - 형제봉을 마주 보며 아주 가파른 암벽의 산인데 그 밑에 두심천 이 흐르며 철쭉꽃이 장관을 이루는곳이다. 철쭉등 이 아니고 새밭등(억새) 이란 이름이 좀 이상하다.
*배나무정(이정梨亭)소바탕-새밭등아래 약간 평평한평지가있다. 이것이배나무정이라고한다. 여기 길가에 예날 큰배나무가 있었다한다.길가는행인이나 나무꾼들이 이배나무밑에서 쉬어갔다고한다.
*자비사-양수마을에 있는 근래에 지은절.
*희모안골- 새밭등 맞은편 형제봉에 있는 골짜기.
*황등걸굴(황들겅에) - 형제봉 남쪽 팔분등선에 넓지막한 들겅(작은 암석만 있고 풀이나 나무가 없는 곳)이 있는데 거기에 십척 사방 석굴이 있다. 추운 겨울에도 온기가 있고 임진왜란 때에 중마의 황 씨들이 피난 왔다 한다. 그래서 황~들겅굴 이라고 이름 졌는지 모른다.
*팔방제- 청도면 팔방동으로가는고개(일명:명방현.빨뺑이).화악산 비슬지맥의 형제봉에서내려오는 중간지점
*한잿골-청도군쪽으로 화악산 골짜기
*맷돌바위 - 마을 뒤쪽 약간 높은 곳에 맷돌 모양의 큼직한 바위가 있다.옛적에는 서당아이들의 쉼터.놀이터
*망바위 - 평전(평밭) 분지 한가운데 허황산 꼭대기에 큼직한 바위가 우뚝 솟아있다. 이 바위가 큰 평밭과 작은 평밭을 굽어보 망을본다고하여 망바위라고 한다.
*산정연못 - 두곡정앞에 있는 중간에 섬이있는 조그마한 아름다운 연못이었다.
*용터고개 -돛대산의 산맥이 동남쪽으로 뻗어내려 호수를 굽어보며 등성이로 되어있는데 그아래뜰이있다.
이뜰을 용터라고 하는데 아마 호수를 감싸고 있는 용두산(월산뒷산)과 마주보기 때문일것이다.대항에서 퇴로로 넘어가는 용터고개라 한다.
*애장터(치분골)-용터고개 한쪽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전염병으로 어린아이가 죽으면 시체를 흙에묻지않고 초(草:풀)분으로 포장하여 골짜기에 두어 썩어없어지게 했는데 그것이 초분이라하고 그장소를 애장터 라고 하였다.
*강두밭들(갱두발) - 대항2리 웟쪽 서쪽들.
*서덕들 - 대항 서쪽에있는들.(서덜들-순우리말 냇가)
*매안들 - 대항 중마을 와 아래마을 사이 동쪽에 있는 들
*보끌-대항리 서쪽 제대천의 한부분.우리어린시절에는 빨레터.김장절임터.였다.
옛날 하영혁 집과 매실나무는 사라지고없다.
*제대천-한목인들은 보끌의 원줄기.대항리화악산에서 발원해 대항저수지 통과 남북으로 굴머리.청운으로 흐르다가 밀양강에유입된다.대부분 넓은평지를 형성하며 흘러간다.제대천이란 하천하류의 제대리에서 유래된것으로 보인다.
*찬물샘미-대항2리 서쪽산 아래 1년내에 마르지않는샘 이 있었다.정초에는 촟불을올려 마르지않음을
기원했다.
*동산모랭이 - 돛대산 끝자락의 동산 모퉁이
*그 외 - 모개골. 숯곡(숯굽는골짜기). 팔방제. 한골에. 구들배기. 서넠들. 불미등(別墓嶝-별묘등). 고란에(골안에). 새 각단(새로 생긴 마을 뜻함). 돈데미. 보끌에(보의끝지점). 산정 연못(두곡정 연못). 포낭끌(포구나무들). 당산나무. 뿔탕터(불당터). 새빠텅에. 성지봉만데히(저수지 동쪽 성지골정상). 찬 물샘 미(서산 하단의 작은 샘). 용터너미(용터고개). 이망굼티기. 소질꾸미. 희모 안골(새밭등위골짜기). 뒷침골(봉천 뒷골). 금박골(저수지서쪽산). 가제골(금박골 옆 골). 성지골(저수지동쪽산)
*숯골-강두밭들(갱두발)위 형재봉줄기 명방현으로 대항에서 보면 8부능선 부근 옛날에 숯을 만들었다는
터 가있다 이곳이 숯골이다.
*불당골(佛堂谷)-돛대산 퇴로리쪽 서고정사위 골짜기 옛날에 무슨불당이 있었다는 전설이있다.이계곡 하류쪽에서 불교에 관계되는 불에탄 불경.목판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말치고개-부북면위량리에서 상동면 옥산리 쪽으로 넘어가는고개이다.상동면사람들은 말채고개.부북사람들은 말치고개.말죽고개.양지골이라한다.
*앞고개-대항 정동마을에서 무안면 동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까막소-무안면 과 청도면 경계지점에 있는바위로 멀리서보면 까마귀가 많이앉아있는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까막소라고 유래되어 마을이름도 까막소라고 한다.
*장재터-무안면 고라리 입구에 위치한마을로 장재기 라고도 하는데 300여년전 이곳에 장자가 살아다고
붙여진지명.
*당숲-청도면 구기리 마을에 있는 팽나무와 당산나무가 울창하다고 붙여진이름.전국아름다운마을숲 에서 우수상을 받을정도로 아름답다.
*형제봉-화악산줄기로 모개골산.대항리와 청도면을접한 한봉우리.
*운주암(雲住庵)-화악산의 주봉 문월대 아래있는 암자이다. 신라 고찰인 봉천사 에 속해있는 암자로 창건
연대는 알수없다.봉천사는없어지고 청연암.백연암 등부근암자들이 없어지고 이 운주암 이 그대로 존속되어
있는것은 그 절묘한 위치 때문일것이다.아름다운 암벽위에 자리잡아 백리산천 의 운무를 볼수있는 곳이다.
화악산 운주암 간행기 가 불서 의 서울의 장서가에도 남아있다.운주는 구름이 머물다는 뜻일게다.
*의구비(義狗碑)-무안면 마흘리 의 점등에서 지정으로 넘어가는 개고개 가 있는데 고개정상에돌비석으로 지금은 신생동 도로변에 세위져있다.이비석은 약300년전에 세위진것이라고 하는데 비문에 연리 허초벽염결비 기유삼월립(椽吏許楚壁焰潔碑己酉三月立)이라 새겨져있다.약300여년전 연리(돈을거두는아전)허초벽 이가 돈을 거둬오다 잔치집에 들려 술이잔뜩취해 돌아오고 있었다. 그는 청렴결백 하게 살면서 동물을 무척사랑했는데 이날도 개를데리고 나갔는데 술이취해 이고개 정상쯤에와서 쓰러져 잠이들었다.이때 갑자기 산불이 나서 허초벽이 잠자는 자리까지 번지게되었다.주인곁에 앉아있던 개는 주인의 위급한 상태를 보고 깨윘지만 주인 취해 일어나지못했다.개는 아래쪽 웅덩이로 가서 물을적셔 뒹굴며 불을껐다.한참후 잠이깬 허초벽은 불을꺼다 죽은 개를 무덤을만들어 주었다.이를 가상히 여긴 주민들이 의구비(義狗碑)를 세웠다고 하며 이를 연유하여 개고개란 이름이 생겼다고도 한다.의구비는 전국 여러곳에서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온다.
그런데 왜 의구비(義-옳을의.狗-개구.碑-돌기둥비) 가 아니고 염결비(廉-청렴할염.潔-깨끗할결.碑-돌기둥비)
일까?밀양설화집에서는 무안리.후사포리76세노인.47세 장년에게서 채록 되어다고 되어있다.
*구천지골-청도면 소태리 동북쪽 건티재 옆에있는 골짜기이다.옛 구천사지 가 있었다고 한다.
설화에 의하면 이절의 규모가 커서 승려또는 신도가9천명 이나 되었다고 한다.여자신도가 많아 풍기문란 했다고 한다 그래서 절의주지가 골치를 앓고있는데 한 도사 찾아왔다. 주지 가 신도를 줄여 달라고하니 도사는 산세를보고 건티재를 고개를낮추고 송곳바위 깨뜨리면 스님의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하여 그래서 고개를 낮추고 바위를 깨뜨리니 바위에서 붉은피가 나오고 빈대들이 무리를지어 절로기어다니니 살수없어 승려들도 떠나고 망해다고한다.지금도 절터주의에 돌을들추면 빈대껍질이 하얗게 보인다고한다.건티재에는 흙을 파낸 흔적이있고 주의보다 지세가 상당히 낮다고한다.
*돛대산절벽-퇴로리쪽 돗대산정상 바로아래 깎아지른 듯한 암벽이있다.인공으로 지맥을 끊은것이 분명할
뿐아니라.수십길이 되는 암벽에는 빨간생피 를 뿌린듯한 빛깔이보인다.전해오는 말로는 임진왜란때 명나라장수이여송 이 온갖술사 를 데리고와서 조선의 산천지리 를 살폈는데 어느곳이던지 산천의 정기를 받아 큰 인재가 나올만한곳이면 현지에가서 산맥을 끊었다고 한다.이곳도 그때한짓이라한다.믿을수없는 말이기는하나 그형태로 보아 수백군졸을 투입하여 인위적으로 끊은것이 분명하다고 볼수있다.
진양하씨 호군공파
밀양 입향세거지 기념비
이곳은 진양하씨 호군공파의 밀양입향 세거지이다.마을이름은 대항이고 또는 수동이라고 한다.
호군 휘 비공은 고려.구국충절신 증 문하시랑 동평장사 휘 공진 시조공의16세손인데. 조선조 초
호군으로 재임중 단종의 손위로 1455년에 기관하고 고장 진주 수곡면 효자리 정곡에서 은거하다
만년에 외조부 고려 공민왕의 외손 재령이씨 사재령 휘 일신공이 계시는 밀양으로 전거 하였다 공은
아드님 세분을 두셨는데 장자 휘 구천은 성균관생원 이고 차자 휘 치천공은 별시위 사과를 지냈고
삼자 휘 수천공은 사간원 헌납과 외보찰방을 역임하였다. 휘 구천공의 아들 휘 충공 호 돈재선생 은
점필재 김종직선생의 문인으로 문과급제하고 사헌부 집의로 재직중 연산군이 왕위에 오르자 사직원
을내고 귀향하였다. 호비공의 5세손 휘 재정공은 임진왜란 으로 부모를 여의시고 자호를 영모재라
하여 재사 를 지었다, 호비공의 후예들이 각기 분파되어 전국각처에서 번성하게 가문을 빛내고있다.
이와같이 550여년의 긴세월에 고장의 옛모습은 찾아보기 어렵지만 지금도 영모재.동강재.
추모재.호성재.보본재.두곡정들이 남아있고 대대의 선영이 내려다 보고 계시는 유서깊은 고적지
이다.
서기2016년 병신 정월 22일
진양하씨호군공파 종중에서 세우다.
참고:휘(諱-꺼릴휘).齋舍(재개할재.집사)
남곤의딱밭
대항은 이조 중종때의 문신 남곤의 태생지이다. 중종조의 기묘사화를 주도하여 조광조 등 유명한 학자들을 죽인 사건으로 그의 사후에 간적으로몰려 삭탈관직되었다. 그가 태어난 이곳 대항이 그런 위인이 태어났다고 하여 지맥을 끊기위해 집을 허물어 그곳에 딱나무를 심었다한다. 그곳이 상항 457번지 부근 이다한다.
지금은 흔적은없지만 은행나무 근방으로 추정된다.
삼지당(三池塘)소
남곤과 같은 인물을 낳았다 하여 남곤 사후 이곳 지맥을끊기위해 배(주舟)의형국 인 대항에다가 세곳에 못을팠다고한다
이곳이 곧 삼지당소 라고 부르는곳이다,지금은 하항 동산밑에 이끼낀 연못이 남아있고.한곳은 하항 동쪽721번지 부근 1960년대 초반 메위지고 한곳은 그 위쪽이 매안들 이라하니 그곳이 아닌가 추측될뿐이다.
중앙부락(중마을)
상항 과 하항 중간마을 중마을은 장수황씨 집성촌이다.처음입주한 황학(黃鶴)은 유명한 황희(黃喜)정승의 증손으로.이조 성종때에 호군 이라는 관함을 가진분이다. 퇴직후 이곳으로 낙향했는데 어떠한 연고가 있었는지는 미상이다.
황씨 재실로는 첨모당(瞻慕堂)이 있다
하항부락(아랫마을)
대항리 아랫부분에 속하므로 아랫목부분.즉 하항(下項)이라고 한것이다. 취락형성의 시원은 분명하지않다.
다만 장춘수(張椿壽)가 부북지동에서 이 부락으로 이주하겠되었는데 임진왜란 시에 화악산으로 피난하였
다가 피난후 정착후 오늘에 이르고있다, 내독재.영사정.목와재.추감재.사이당등의 재실이있다.
굴머리부락
언제부터 취락이 형성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이조 순조 시라고 하는말도 전해온다. 굴머리 는 어떤 연유로 생겨는지 알길이없다. 마을뒤쪽의 고개를 굴머리고개라 하며 청도면 넘어가는 길이다. 이마을에는
추모재 는 이조 순조 조에 전거한 최광적의 유덕을 기리며 현손 인 최상해 지은 재실이다.
화남마을
화악산 남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붙여진이름
정동부락(井洞)사랑곡(巳郞谷)
취락형성년대 는 분명치않다. 그옛날 대항리를 적항리 라불렸다하는데 적항리 일부라고 생각된다.
언제부터인지 몰라도 밀성박씨 들이 전거 하고있다, 박세건 유덕을 추모하는 사정재 가있다.
평밭마을
화악산 동쪽봉우리 아래 자그마한 마을이있다.언제부터 사람이 거주했는지는 확실치않다.산위에 약간 평평한 곳이라해서 평전이라는 이름이 붙여진것이다.
봉천동
화악산 중간에 옛날에 봉천사가 있던자리이다.절밑에 5.6호의 민가가 살았다.왜봉천이란 이름이 붙여졌는지는 알길이없다.
벽수동
화악산 상봉분수령 과 평전분지에서 모여든 물이합쳐지는곳.물이맑아 하절기에는 주변사람들이 피서를 즐기던곳.지금은 민가들이 들어서 있다.
하영혁
카톡으로보내준 대항리지명.택호
소바탕.모개골.숯곡개.팔팽이.이망굼티기.항골에.수꼶비알에 구들배기.맷돌방구.서녘케.풀미떵.고란에.순자
태주.새악단.용터넘에돈데미.보끌에.서산에동녘케.태동할배.들말할배.가미실아재.안서방네.한골목.중마도치.이조.아리말똥개.동산모래미.기생집유복이.아리마캐야.보굼제.산정연못.운전아제.말뺑이.동녘케.성만할매.원판이.장기큰새미.핑니할매.대동할매.고구매장사.흰쌀밥디리.포낭끌에.당산나무.종파.서녘파.항골파.찰방산소.
내진벌무게.청운돗대.중참나발.외팔이엿재히.안전뱅이동냥.동사할매.경두바리.뿔땅터.황털굴안에.황들겅에.망바구.소질꾸부.큰평전.작은평전.백리넘에.소구리틀안에.휘목안에.양수바지.새빠텅에.성지봉만데히.중말번덩에.봉천에.팜바구.재바구.달바구.기둥이.중마어릉골띠기.핑밭.지시골.팔방동영천나드래. 지금저수지 한복판으로 추정됨 1960년에 수몰됨 본인이정확히 기억하고있음.
택구(택호)기억하기-도움띠기.원판이.당도띠기.초전띠기.안산띠기.무릉동띠기.씨리동띠기.덕암아지매.
참산아지매.옥동아지매.금곡아지매.신한아지매.영산아지매.소리아지매.정내아지매.학산할매.가모띠기.내진띠기.호동띠기.중학띠기.봉국띠기.초전띠기.조암띠기.요암띠기.하목띠기.근포띠기.무리칠띠기.정동띠기.개미띠기.학포띠기.국전띠기.기우띠기.다원띠기.용성띠기.옥천띠기.안동아지매.행핀아지매.양오아지매.신노아지매.창녕띠기.덕선아지매.오봉아지매.헌풍띠기.부곡띠기.기성아지매.삭개할매.기미실아지매.유동아지매.단산띠기.기팔띠기.고정띠기.다리동띠기.안양아지매.부동띠기.비봉띠기.학포띠기.도동띠기.야양띠기.전포아지매.경산아지매.영산아지매.진국아지매.덕암띠기.참산띠기.핑오띠기.사포띠기.경산띠기.이듬할매.냉기할매.덕천할매.중산할매.마동할매.운동할매.소태할매.대사동할매.언산할매.성만할매.핑리할매.대동할매.하옥할매.평촌할매.두옥할매.오리할매.덕촌할매.무실할매.밍래할매.인동할매.내앙동할매.하동할매.내동할매.동녘성만할매.태동할매.서가정할매.기팔할매.덕동할매.해기할매.도방동할매.안동할매.서촌할매.장동할매.미꼴할매.
하늘에서 본 대항리 (아래 영문주소를 누르세요)
http://www.youtube.com/watch?v=Kkrq02AyWWg